주식강의-주가 이동평균선
◈개요
●미국의 그랜빌은 주가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시점 포작방법을 8가지
(매수신호4가지,매도신호4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은 한가지 주가 이동평균선을 이용하는
매매기법으로만 설명하고있다.
그랜빌은 주가이동평균선의 기간은 단기선보다는
장기선인 200일선이 적중확률이 높다는
주장을 하였다
●주가 이동평균선을 단기추세로는 5일평균선,
중기추세로는 20~60일 평균선,장기추세로는
120~200일 평균선을 주로 사용된다
●주가 이동평균선이란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주가의
평균치를 도표로 옯겨놓고 현재의 주가 진행방향을
분석하여 향후 주가의 움직임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이동평균선의 종류에는 단순 이동평균,누적 평균
기하 이동평균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단순
이동평균선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계산방법
●5일 이동평균선이란 당일의 종가를 포함하여 최근
5일간의 종가를 합한것을 5로 나눈것이
5일 이동평균선의 값이된다
●10일 이동평균선이란 당일의 종가를 포함하여 최근
10일간의 종가를 합한것을 10으로 나눈것이 10일
이동평균선의 값이 된다
●n일 이동평균선이란 당일의 종가를 포함하여 최근
n일산의 종가를 합한것을 n으로 나눈것이 n일
이동평균선의 값이된다
★이동평균선을 이용하는것은 계산이 단순하여 누구나
다 쉽게 접근하여 매매신호를 기계적으로
알수있다는점이 있지만 이미지난 과거의 주가를
이용하여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기 때문에 바닥권과
상투권에서 추세가 전환될때와 매매 신호를 받았을
때에의 시차가 있어 후행성이란 단점이 있다
◈분석방법
●방향성분석 : 이동평균선의 방향이 상승중인지
하락중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으로 전환되는 경우 단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전환된다는것이다.
●배열도 분석 : 정배열 상태란 주가가 상승세로 전환되어
상승추세의 모습을 갖춘상태.
맨위에는 주가 →단기 이동평균선→중기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나열된다
●지지 및 저항선 분석 : 이동평균선들이 지지세력 혹은
저항세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으로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단기 이동평균선,중기 이동평균선,장기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으로 작용하며 상승하고 주가가 하락할 시에는
단기 이동평균선,중기 이동평균선,장기 이동평균선이
저항선으로 작용하며 주가가 단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이탈된다는 것이다.
●크로스 분석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는 경우 골든크로스,하향 돌파하는경우를
데드크로스라한다
골든크로스의 경우를 매수신호로 데드크로스의 경우엔
매도신호로 인식한다. 이동평균선 분석방법 중에서
크로스 분석방법은 가장 널리 이용하고 있는 분석방법이지만
실질적인 추세전환과는 시차가 있다는것이 단점이다
●밀집도 분석 : 주가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단기,중기,장기 이동평균선끼리 거리와 모아지는 결집도에
따라서 매매시점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강의-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2 (0) | 2019.04.09 |
---|---|
주식강의-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전략 (0) | 2019.04.02 |
주식강의-그랜빌의 법칙 (0) | 2019.03.28 |
주식강의-기술적분석과 기본적분석 (0) | 2019.03.22 |
주식용어-시장가치분석 (EPS,PER,PBR,PCR) (0) | 2019.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