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다이어트 인슐린만 알면 쉬워요.

우리는 중년 나이가 되면서 예전 보다 식사량을 줄여도 다이어트가 안되는 이유를 아시나요?


그 이유는? 지방저장 호르몬이라 별명이 붙어 있는 인슐린이 예전 식습관으로 인해서 끊임 없이 분비가 되기 떄문이죠.




인슐린은?

우리가 먹은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포도당으로 변하고, 혈액내 포도당 농도인 혈당이 올라가면서 에너지로 원으로 쓰여지게 되는데요.이렇게 포도당이 에너지 원으로 바로 쓰여지게 되는게 아니라 포도당이 세포내에 원활하게 들어가게 하는 것이 인슐린의 역활입니다. 즉, 인슐린은 우리 내 혈액내에 혈당이 올라가면 췌장에서 정보를 전달 받아 혈당내 농도를 세포로 원활하게 전달해줘서 에너지 원으로 바꾸는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인슐린의 다른 역할 떄문에 비만!!!

인슐린의 또 다른 기능은 지방저장 기능 때문인데요.이것은 우리가 당장 쓰여질 포도당보다 더 많은 음식을 섭취했을때 인슐린은 남아 도는 포도당을 근육과 간에 글리코겐이라는 형태로 저장을 해둠으로써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했을때 꺼내서 에너지 원으로 활용을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남는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을 했다고 하더라도 저장시킬 수 있는 량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더 남은 포도당 성분은 지방으로 우리 몸에 저장을 해버리 때문에 비만이 되어 버리고 말죠.문제는 우리가 몸에 쌓여 있는 지방을 아무리 운동을 통해서나 다이어트를 통해서 줄여 볼려고 하지만 소량의 음식물 섭취와 운동량을 늘린다고 하더라도 우리 몸은 그동안 간과 근육에 저장 되어 있던 글리코겐이 먼저 소모되고 나중에 지방이 분해 되기 때문에 쉽게 체중 감량 효과를 볼 수가 없습니다.


끊임 없이 분비 되는 인슐린량을 줄이는 것이 해답!!!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 중에서 가장 많은 인슐린이 분비되는 것이 탄수화물 성분인데요. 아무리 음식물량을 줄인다고 하더라도 소량을 먹지만 자주먹는 탄수화물은 절대로 다이어트를 할 수 없고 계속된 지방저장기능을 부추켜서 오히려 지방으로 더 쌓이는 결과만 초래하기 떄문이죠.




인슐린 억제 방법

1.인슐린 분비가 가장 많이 분비 시키는 즉,가장 많은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혈당을 높이는  음식물은 밀가루,떡,설탕과 같은 정제탄수화물 줄이기.


2.공복 시간 많이 늘리자.

이것은 글리코겐 형태로 우리 몸에 저장되어 포도당을 소모시켜 더 이상 지방으로 쌓이지 않게 하기.~~간은 우리 몸에 필요한 포도당 성분인 글리코겐을 24시간 정도 공급할수 있는 량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참조해서 공복 시간을 늘려주는 것이 지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겠죠.


3.단백질을 과도한게 섭취하는것을 피하기.

많은 단백질 섭취는 포도당신생합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포도당으로 변해 혈당을 높이고 인슐린 분비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고탄수화물을 섭취할때는 천연발효 사과 식초를 같이 먹는다.

천연발효 사과 식초는 고탄수화물 음식을 섭취할때 같이 먹어주면 고도한 혈당 상승을 방지해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습니다. 


5.수용성 식이섬유 섭취하기.

수용성 식이섬유는 위장 속 음식물을 오랜 시간 머물게해 줌을 포만감을 느끼게 해줄뿐만 아니라 혈당 상승도 서서히 시켜서 인슐린 분비의 량도 방지해 주는 역할까지 있습니다.수용성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물은 사과,레몬과 해조류에서 찾아 볼수 있습니다.




결론은 우리 몸의 혈당이 높아져 지방저장 기능을 하는 인슐린 분비를 얼마나 줄이느냐가 다이어트의 핵심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의 비결! 마늘의 효능  (0) 2019.02.28
갈근 칡뿌리의 효능  (0) 2019.02.28
우엉의 효능  (0) 2019.02.27
안면홍조 1분만에 열내리는 꿀팁  (0) 2019.02.27
만병의 근원 면역력 높이기  (0) 2019.02.26